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가뭄이 장기화되면서 강릉시가 생활·농업용수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행정안전부가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재난특교세) 15억 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가뭄 상황을 신속히 해소하기 위해 긴급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앞서 교부된 19억 원에 이어 이번 추가 지원으로 총 34억 원의 재난특교세가 강릉 지역 가뭄 대응에 투입됩니다.

강릉 지역 가뭄 현황과 지원 배경

강릉시는 최근 몇 달간 비가 충분히 내리지 않아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지역 저수지와 하천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농가에서는 작물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 주민들은 제한적인 급수로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신속한 용수 공급 대책을 위해 재난특교세를 긴급 투입했습니다. 특히 군 물탱크를 활용해 오봉저수지에 급수를 지원하는 등 현장 대응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추가 지원은 단순한 예산 교부가 아니라, 지역의 물 부족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책입니다.

재난특교세 지원 규모와 활용 방안

이번에 교부된 15억 원은 기존 19억 원과 합쳐 총 34억 원 규모로 집행됩니다. 이 예산은 강릉 지역의 용수 확보 시설 보강, 긴급 급수 장비 설치, 농업용수 공급망 확충 등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또한 임시로 설치된 급수차 운영, 취약계층 가정 급수 지원, 농작물 보호를 위한 관정 정비에도 활용됩니다. 행정안전부는 예산 집행 과정에서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관리할 방침입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가뭄 해소 대책을 빠르게 추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향후 대응 방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가뭄으로 인한 주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황이 해소될 때까지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이번 긴급 지원을 시작으로 추가적인 재정 투입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 또한 지자체는 장기적인 가뭄 대응을 위해 저수지 준설, 관정 개발, 상수도 관망 개선 등 중장기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농업인 대상 지원책과 더불어 지역 주민들에게 안정적인 물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강릉시 재난특교세 긴급 지원은 가뭄으로 인한 생활 불편과 농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조치입니다. 총 34억 원 규모의 지원이 지역 주민들의 안정적인 용수 확보와 생활 환경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