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01. 데이터 유형

 

fun main() {

    val myNum: Int = 5                // Int   정수
    val myDoubleNum: Double = 5.99    // Double  소수
    val myLetter: Char = 'D'          // Char  문자
    val myText: String = "Hello"      // String 문자열
    val myBoolean: Boolean = true     // Boolean 논리 참 또는 거짓
}

 

 

# 정수유형
.Byte > -128 127 이내의 값이 확실할때사용
.Short > -32768에서 32767 이내의 값이 확실할때사용
.Int > -2147483648에서 2147483647 이내의 값이 확실할때사용
.Long > -9223372036854775808에서 9223372036854775808 이내의 값이 확실할때사용(선택적으로 "L"로 값을 종료할 수 있다)

※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유형은 int 형이면 전체숫자의 최대는 2147483647로 그이상으로 넘어가면 Long 으로 정의된다.

 


# 부동점유형
.Float > 3.4e-038에서 3.4e+038로 분수 번호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값을 "F"로 종료해야 합니다.
.Double > 1.7e-308에서 1.7e+038로 분수 번호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논리유형
.Boolean = true or false 부울 값은 주로 조건부 테스트에 사용된다.

 


# 문자유형
.Char > 단일 문자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char 값은 'A' 또는 'c'와 같은 단일 따옴표로 둘러싸여 있어야 합니다.

※ 코틀린에서는 ASCII 값을 사용하여 특정 문자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 문자열유형
.String > 문자 시퀀스(텍스트)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문자열 값은 이중 따옴표로 둘러싸여 있어야 합니다.

 


# Array 배열 : 값을 별도의 변수를 여러번 선언하는 대신, 단일 변수에 여러값을 저장하는데 사용

 


02. 데이터 유형 변환하기

자바와 다르게 다른 코드가 잇는 형식으로 는 변환할수없으므로 함수를 사용해야한다
( toByte()toShort()toInt()toLong()toFloat()toDouble()toChar() )

 

 fun main(){
   val x: Int = 5
   val y: Long = x
   println(y) // Error: Type mismatch
 }
fun main(){
     val x: Int = 5
     val y: Long = x.toLong()
     println(y)
 }

 

class05 dataTypes.kt
0.00MB

 

 

 

 

[Edu/Kotlin] - [코틀린배우기] 01. 변수 var & val

[Edu/Kotlin] - [코틀린배우기] 02. declare 변수선언

[Edu/Kotlin] - [코틀린배우기] 03. 변수 정리하기 summary

 

728x90
반응형
반응형
250x250